728x90
320x100
AS-IS 쿼리를 분석하다가 INSTR() 란 함수를 발견. 아 이거 분명 배웠는데...! 뭐였더라...!
INSTR()
- INSTR은 자기가 원하는 컬럼의 값이 몇번째에 있는지 알 수 있게 위치값을 숫자로 리턴해준다.
- LIKE는 포함되어 있는지 찾아준다면 INSTR은 포함되어 있는 문자가 몇번째에 있는지 알수 있는 함수.
출처 -
[Oracle] 오라클 INSTR 함수 사용법 완벽 정리 (CHARINDEX, IndexOf)
오라클에서는 문자열에서 원하는 문자를 찾을 때 INSTR 함수를 사용한다. INSTR 함수는 대소문자를 구별하여 문자를 검색하며, 여러 개의 문자를 찾을 때는 OR 연산자를 사용하면 된다. 해당 문자를
gent.tistory.com
데이터베이스(DB) - INSTR(개념, 예제)
데이터베이스는 쓰면 쓸수록 좋은 함수들이 많이 나오네요.. 오늘은 INSTR을 사용해서 쿼리문을 만들...
blog.naver.com
728x90
320x100
'💻 하나씩 차곡차곡 > DB (SQL)' 카테고리의 다른 글
[Oracle/오라클] 날짜형식 체크하는 방법 3가지 (0) | 2024.01.19 |
---|---|
오라클 ""(쌍따옴표) VS '' (홑따옴표) (0) | 2023.12.06 |
SQLD 삼수생이 공부할 때, 도움받았던 유튜브 영상들 (0) | 2022.06.24 |
[Oracle/오라클] ORA-65096: 공통 사용자 또는 롤 이름이 부적합 합니다. 에러 해결 방법 (0) | 2021.05.25 |
[Oracle/오라클] developer 접속 에러 (ORA-12528) (0) | 2021.05.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