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320x100
먼저 H-Index 를 이해하는 게 우선...
설명 들으니까 대에에에충 알겠다....
포인트는 자신이 저널에 등재한 전체 논문중 많이 인용된 순으로 정렬한 후, 피인용수가 논문수와 같아지거나 피인용수가 논문수보다 작아지기 시작하는 숫자가 바로 나의 h가 됩니다.
[연구논문을 위한 핵심 10단계] H-지수(H-Index) 란 무엇인가? | 연재 > Bio뉴스 > 동향 | BRIC
일반적으로 특정 연구원의 연구성과를 평가하기 위해 얼마나 많은 논문을 발표 하였는지를 보게됩니다. 그러나 단순히 발표한 논문 ...
www.ibric.org
풀이1
def solution(citations):
citations = sorted(citations)
leng = len(citations)
for i in range(leng):
if citations[i] >= leng-i:
return leng-i
return 0
(+) 덧붙이기
1. 정렬함.
citations = sorted(citations)
2. for문을 돌려가며 비고
for i in range(leng):
if citations[i] >= leng-i:
return leng-i
- 피인용수가 논문수와 같아지거나 피인용수가 논문수보다 작아지기 시작하는 숫자가 바로 나의 h 를 따라서 인용수와 논문수를 비교한담에 작아지거나 같아지는 그 때가 바로 H-index!!!!!
풀이2
def solution(citations):
citations.sort(reverse=True)
answer = max(map(min, enumerate(citations, start=1)))
return answer
- 그런데 Enumerate 함수를 활용하여 더 간단하게 짜는 방법도 있더라.
728x90
320x100
'💻 하나씩 차곡차곡 > 프로그래머스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머스/Lv.1/Python] 모의고사 (0) | 2024.01.26 |
---|---|
[프로그래머스/Lv.2/Python] 가장 큰 수 (0) | 2024.01.25 |
[프로그래머스/Lv.1/Pyhton] K번째수 (0) | 2024.01.24 |
[프로그래머스/Lv2/Python] 큰 수 만들기 (0) | 2024.01.23 |
[프로그래머스/Lv2/Python] 구명보트 (0) | 2024.0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