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320x100

💻 하나씩 차곡차곡373

[인텔리제이/깃허브] 깃허브에 있는 레파지토리 가져오기 (사진 없음) 1. 인텔리제이를 켜주세요. 2. [FIle] - [New] - [Project from Version Control...] 클릭 3. 좌측에 [Repository URl]로 들어가고 1) Github의 URL을 작성해준다. 2) Directory의 경우, 내 컴퓨터에 저 프로젝트를 어디다가 저장할 것인지 경로를 지정하는 것. 본인이 컴퓨터 어디에 저장할지 위치 지정해주면 됨. ※ Github의 URL은 어떻게 아나요? 깃허브에서 요 주소를 갖다 붙여주면 됨. 4. 그러면 알아서 가져오집니다. 2022. 9. 29.
[Github/이클립스] 이클립스 프로젝트를 Github에 연동하기 [이클립스에서 만들어 놓은 프로젝트를 GIthub에 연동하고자 할때 매뉴얼] 1. Github에 레파지토리 만들기 .gitignore 를 체크하냐, 안하냐에 따라서 프로젝트 연동하는 법이 조금 다르니 이부분을 잘 확인해두기. 2-1. github에서 레파지토리 생성 당시 .gitignore 체크 안했을 때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뜰 것이고, 빨간 상자에 주소를 복사해둔다. 3. 연동하려는 프로젝트 오른쪽 버튼 클릭 - [team] - [Share Project..] 클릭 4. Repository 경로를 잡아주고 [Finish] 눌러서 완료. 5. [package explorer] 창에는 프로젝트 명에 [main] 이 붙었고, [Git repositories] 창에 해당 프로젝트 생성됐음을 알수 있다. 6... 2022. 7. 28.
[이클립스/Gradle/Spring boot] Github에서 Gradle 프로젝트 Import 하는 법 기존에 내가 알던 깃허브 import방법으로는 스프링부터 & 그레이들 프로젝트가 아래 화면 처럼 제대로 import 되지 않음. (에러뜨고 난리남....) 그래서 삽질 좀 하다가 알게된 방법..... 1. [Git Repositories] 창에서 빈공간 오른쪽 버튼 클릭 - [Clone a Git Repository..] 클릭 2. URI 에 import 할 깃허브 주소를 적어준다. (uri만 적으면 아래 사항은 보통 알아서 입력 됨.) **** github의 URI 가 뭔가요? import할 깃허브 프로젝트 페이지에 들어가서 [Code] 클릭 - [HTTPS] 주소를 그대로 복사 해오면 된다. 3. 차례대로 [Next]를 주르륵 눌러준다. 4. 완료 되면 [Git Repositories] 창에 해당 프.. 2022. 7. 27.
[javascript] $(document).ready vs $(window).onload (실행) $(document).ready(function(){ }); $(window).onload(function(){ }); [오늘의 궁금증] ready 와 onload 의 차이점은 무엇일까? 뭐가 더 먼저 실행될까? 호출시점 $(document).ready 호출시점 : DOM Tree 생성 완료 후 $(window).onload 호출시점 : 모든 페이지 구성요소 페인팅 완료 후 실행 우선순위 ready() -> .onload() $(document).ready() 중복 사용 가능. $(function(){});과 같음 $(window).onload() 한페이지에 하나만 사용가능. 중복사용 되었다면 가장 마지막 것만 호출됨. 출처 - https://hahahoho5915.tistory.com/28 jQuery.. 2022. 7. 6.
[꿀팁] 캐시삭제 및 새로고침 쉽게 하기 힘들게 캐시 삭제 하지말고 편하게 하는 법 1. 개발자 도구(윈도우 : f12 / 맥 : option + command + i)를 킨다. 2. 개발자 도구를 킨 상태에서 새로고침 아이콘을 오른쪽 클릭 해준다. 3. 그럼 위와 같은 창이 뜨고 [캐시비우기 및 강력새로고침] 눌러주면 바로 캐시 삭제 및 새로고침이 된다. 2022. 7. 5.
SQLD 삼수생이 공부할 때, 도움받았던 유튜브 영상들 저는 3번 만에 SQLD 합격 했고요. ‘이주의 기적’ 그런거 없고요. 저는 그냥 열심히 했습니다. 그래도 공부 하면서 필요한 개념들을 이해하기에 좋은 유튜브 영상들이 몇 개 있어 공유해보려고 합니다. *** 저는 데이터베이스를 따로 공부한 적이 있고 실제 개발자로 활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시험을 준비한 케이스기 때문에 아예 처음부터 공부하셔야 하는 분들에게는 알맞는 추천은 아니라 생각합니다. 정규화 관련 정보처리기사에서도 빠지지 않는 필수 개념인 정규화, 반정규화. ‘두부이결다조’로 열심히 외워도 막상 이게 무슨 정규화 인가요? 물으면 잘 모르는 경우가 많았는데, 그 때 가장 도움을 많이 받은 영상입니다. 처음에 봤을 땐 별다른 편집도 없고 그냥 종이에 그려가면서 설명하시길래 반신반의 했는데 개인적으로 .. 2022. 6. 24.
728x90
320x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