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320x100 💻 하나씩 차곡차곡363 [이클립스] 작업하고 있는 파일 경로 찾기 이클립스로 작업하고 있는 소스파일의 경로를 찾고 싶을 땐 작업 중인 소스파일을 열고 [Alt] + [Enter] 를 누르면 됨. 1. 파일 경로로 이동하고 싶다면? -> 중간에 [Location] 부분 옆에 버튼을 클릭하면 해당 경로가 폴더 형식으로 열림. 2. 그냥 경로의 주소를 복사하고 싶다면? -> 경로에 커서를 놓고 Ctrl + A (전체선택) 으로 구역을 지정해준 후 Ctrl + C (복사) 하면 해당 경로가 복사 된다. 2021. 3. 31. [이클립스/JAVA] System.out.println(); 빨리 쓰기 / 단축키 JAVA를 배우다보면 System.out.println(); 을 정~~~~말 쓸일이 많다. 그런데 매번 쓸 때마다 풀로 써줘야 해서 귀찮거나 Ctrl + space를 이용해서 자동완성을 해도 system따로 out 따로 println 따로 자동완성이 되서 생각보다 별로 빠르지도 않음. 그럴때 System.out.println(); 빨리 쓰는 법. 1. 'sysout' 을 쓴다. 2. [Ctrl] + [space]를 누른다. 그럼 바로 System.out.println(); 이 자동으로 생성됨. 팁이라도 적기도 민망한..누구나 다아는...그런..그런 팁.... 2021. 3. 29. [이클립스] Package Explorer 사라졌을 때 / 없어졌을 때 (Console 창 사라졌을 때도 같은 방법) 걍 갑자기 잘 쓰다가 모르고 다 꺼버려서 콘솔창이나 패키지 익스플로러 창이 안보일 때 은근 난감할 때 이쑴. 그럴땐 상단 메뉴 바 [Window] - [Show View] - [Project Explorer] 클릭하면 다시 생김! 콘솔창 없어졌을 때는 상단 메뉴 바 [Window] - [Show View] - [Console] 클릭하쇼! 2021. 3. 29. [자바/JAVA] 예외처리 관련 메서드인 printStackTrace() 이란? printStackTrace()는 try, catch 예외 처리 할때 쌍둥이처럼 딸려나오는 메소드인데 정작 뭐하는 메소드인지 모르고 있었음. 걍 간단하게 말하면 에러가 났을 때 콘솔창에 빨간줄이 주르르르르르르륵 뜨는데 그 빨간 줄이 뭔 에러가 난건지 설명한거 잖음? 그 에러 설명을 가장 상세하고 자세하게 나타내주는 메서드라고 생각하면 됨. 2021. 3. 26. [이클립스/JAVA] getter, setter, 생성자 자동으로 만들기 이클립스로 자바 소스 만들다 보면 getter, setter, 생성자 만들어줘야 하는 경우가 당연 있는데, 이를 쉽게 만들어주는 기능이 이클립스에 제공되어 있다. 1. 작성 중인 소스파일 위에 오른쪽 버튼을 누름 ※ 커서, 위치 다 상관없다 그냥 만들고자 하는 화면에만 커서가 있으면 됨 2-1. [Source] - [Override/Implement Methods..] : 오버라이드 자동으로 만드는 기능 2-2. [Source] - [Generate Getters and Setters..] : getter, setter 자동으로 만드는 기능 2-3. [Source] - [Generate toString()..] : toString() 자동으로 만들어주는 기능 2-4. [Source] - [Generate.. 2021. 3. 26. 개발할 때 윈도우 창 두 개 띄우기 사무직을 5년 넘게 했으면서도 윈도우 단축키에 익숙치 않았는데 따지면 사실 배울 이유가 없었다. 굳이 몰라도? 크게 불편함이 없었기 때문에....그런데 개발자 공부를 하면서 단축키를 무조건 뭐든 알아둬야 훨씬 쉽고 편하고 좋다는걸 깨닫게 되었음. 사실 이 단축키도 개발자 아니여도 알만한 사람들은 다 아는 단축키인데 나처럼 비전공자인데 개발 시작한 사람들은 이런 간단한 단축키도 모르고 또 낯설 수 있기에 기록으로 남겨 둔다. 한 쪽은 인강을 틀고 한쪽은 notion으로 작성 하거나, 한쪽은 팀뷰어로 수업내용을 보고 한쪽은 내가 코드를 짜거나, 혹은 소스코드를 비교 해야 할 때 등등 다양한 경우에 윈도우창 이분할은 필요하다. 방법은 엄청무지 미친듯이 간단. [윈도우 버튼] + 방향키 위아래로 요리조리 눌러보.. 2021. 3. 26. 이전 1 ··· 56 57 58 59 60 61 다음 728x90 320x100